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는가? 질문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적기 전에, 혹시 독자들은 자유의지(free will)가 무엇인지 아는가? 자유의지란 바로 자신의 행동과 결정을 스스로 조절하며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즉, 자유의지는 우리에게 인생에서 하는 선택들이 진정 우리 의지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물어본다. 자유의지 개념을 처음 들어본 사람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 선택은 당연히 내 의지로 이루어지는 거 아니야?" 하지만, 자유의지의 존재여부는 생각보다 학계, 종교계, 철학계 등에서 뜨거운 논쟁거리이다. 그리고, 필자는 자유의지에 대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자유의지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일단 시간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혹시 시간은 흐른다고 생각하는가? 혹시 그렇게 생각했다면 아쉽게도 틀렸다. 시간은 공간.. 2023. 5. 7.
뇌실(Ventricle) 1. 뇌실(Ventricle) 뇌 안에 존재하는 연결된 빈 공간 - 각 뇌실에는 뇌척수액을 생산하는 맥락얼기(Choroid plexus)가 존재하여 뇌실 안은 뇌척수액이 채워져 있음 - 뇌실은 좌우에 위치한 측뇌실과 제3뇌실, 제4뇌실로 구성되어 있음 - 4개의 뇌실들과 척수의 중심관(Central canal)은 서로 연결되어 있음 - 네 개의 뇌실 및 척수의 중심관은 배아시기에 관찰되는 비어 있는 등쪽 신경삭(Nerve cord)으로부터 유래 - 뇌실계(Ventricular system)와 척수의 중심관 내면은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으로 덮여 있음 (맥락얼기도 뇌실막세포와 연질막[Pia meter]이 합쳐진 구조) 신경교세포(Glial cell, Glia) 1. 중추신경계(CNS; Ce.. 2023. 3. 12.
호문쿨루스(Homunculus) 1. 호문쿨루스(Homunculus) 신경이 밀집된 신체 부위를 비율적으로 나타낸 지도 - 우리 몸의 신경 분포도가 어떠한 식으로 형성되어있는지를 알 수 있음 -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에 따라 운동 호문쿨루스(Motor homunculus), 감각 호문쿨루스(Sensory homunculus)로 나눠짐 -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의 각 영역이 신체의 어떤 부위와 지도화되어있는지 호문쿨루스를 통해 알 수 있음 - 선천적으로 신경 발달이 타고나기는 하지만, 후천적으로 신경 발달이 달라지기 때문에 호문쿨루스 역시 사람마다 다르고, 또 달라질 수 있음 - 호문쿨루스를 보면, 대뇌피질에 얼굴과 손발의 신경 전달을 담당하는 부분이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호문쿨루스에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곳을.. 2023. 3. 10.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이후 서술되는 내용은 필자가 리사 펠드먼 배럿님의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을 읽고 인상 깊었던 부분을 정리한 것이다. 1/2. 뇌는 생각하기 위해 있는 게 아니다 - 알로스타시스(Allostasis) 몸에서 뭔가 필요할 때 충족시키도록 자동으로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 - 최대한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방법을 택해야 함 - 알로스타시스를 위해 몸 내부가 정교해져가고, 복잡해져 감 - 수많은 체계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뇌'가 필요해짐 - 뇌가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생각하는 것이 아닌 '신체를 운영'하는 것 1. 뇌는 하나다, 삼위일체의 뇌는 버려라 - 뇌의 진화 과정 - 뇌의 진화는 퇴적암의 지층처럼 층을 쌓아온 것이 아니라 점점 커지면서 재조직되며 일어남 - e.g. 인간은 네 개의 일차체성감각.. 2023. 3. 9.
『지구 끝의 온실』은 인공생명 연구의 미래? 최근 나는 김초엽 작가님의 『지구 끝의 온실』이라는 책을 읽으며 인공생명에 대해 관심이 생겼다. 책에서는 ‘더스트’라는 생명을 파괴하는 입자로 인해 재앙이 발생한다는 흥미로운 소재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책에서 소개된 ‘더스트’는 원래 자가 증식 나노봇으로 개발되어 분자 단위에서 물질을 통제하고 재조립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극도로 소형화된 입자들이 통제를 벗어나며 스스로 복제하는 나노머신들이 지구를 집어삼키는 상황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더스트’와 같이 자가 증식 등의 생명체의 특징을 갖는 인공체는 인공 생명체라 하고,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인공체를 창조하기 위한 학문을 인공생명이라고 한다. 자가 증식 로봇에 대해 이야기를 하려면 인공생명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기에 필자는 이 글에서 살짝은 .. 2023. 3. 9.
신경교세포(Glial cell, Glia) 1.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속 신경교세포 1.1. 별아교세포(Astrocyte) 많은 돌기가 뻗어 있어 별처럼 보이는 신경교세포 - 신경교세포 중 가장 크기가 큼 - 뻗어 나온 돌기로 뉴런 및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와 상호작용을 함 - 구분 1) 원형질 별아교세포(Protoplasmic astrocyte) - 뇌의 회백질(Gray matter)에서 발견됨 - 혈액뇌장벽(BBB; Blood-brain barrier)을 구성하는 내피세포의 생화학적 특성 조절 - 시냅스 가소성 유지 역할 2) 섬유 별아교세포(Fibrouse astrocyte) - 뇌의 백질(White matter)에서 발견됨 - 원형질 별아교세포보다 훨씬 더 긴 .. 2023.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