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동물분류학 2편 (자포동물문, 유즐동물문) 3. 진정후생동물아계(Eumetazoans) - 중생동물과 측생동물을 제외한 모든 후생동물 - 크게 이배엽성인 방사대칭동물과 삼배엽성인 좌우대칭동물로 나뉨 3.1. 방사대칭동물군(Radiata) - 외배엽과 내배엽의 2가지 배엽을 가짐 - 몸이 방사대칭형임 3.1.1. 자포동물문(Cnidaria) - 대부분 수중생활을 함(고착생활 or 부유생활) - 자포를 가짐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함) 3.1.1.1. 해파리아문(Medusozoa) - 유연성 해양동물에 해당 - 몸의 94~98%가 물로 이루어짐 - 두 세포층 사이에는 젤리 같은 물질이 차 있음 - 이 물질은 깨지기 쉬운 체벽을 지탱하는 일종의 골격 역할을 하며, 물 속에서 해파리가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줌 - 촉수.. 2023. 12. 19.
동물분류학 1편 (중생동물아계, 측생동물아계) 1. 중생동물아계(Mesozoa) - 다세포동물 중 가장 단순한 동물 - 몸의 구조는 발생 과정상의 상실기에 해당함 (단세포생물과 다세포생물의 중간 단계) - 기생생활을 함 - 몸의 구조가 특이한 이유도 기생생활에 익숙해져 몸이 퇴화한 것이 이유일 것으로 예상됨 1.1. 능형동물문(Rhombozoa) - 좌우대칭의 형태를 지님 - 능형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들을 뭉뚱그려 이배충이라 표현함 - 이배충들은 두족류의 신낭에서 기생하는 벌레 모양의 동물임 - 이배충의 생활사 1. 축세포에서 무성생식의 출아에 의해 많은 유충이 만들어짐 (처음에 생기는 이 유충들은 연충형(지렁이 모양) 유충임) 2. 연충형 유충들은 어미 이배충의 몸을 뚫고 나와 숙주의 신장에서 무성충으로 발달함 3. 숙주의 신장에서 자라는 무성충은 .. 2023. 12. 18.
인간은 왜 인간이고 초파리는 왜 초파리인가 이후 서술되는 내용은 필자가 이대한 교수님의 '인간은 왜 인간이고 초파리는 왜 초파리인가'를 읽고 인상 깊었던 부분을 정리한 것이다. 책에 소개된 내용에 추가적인 내용들을 덧붙여 작성하였다. 1. 이 모든 장엄함과 경이의 재료 | 변이와 유전의 본성 - 생어 시퀀싱(Sanger Sequencing) - 배경 지식 - DNA를 합성하려면 dNTP(dATP, dCTP, dGTP, dTTP)가 필요함 - DNA는 dNTP의 3'-하이드록시기와 5'-인산기가 결합하며 만들어짐 (그 과정에서 5'-인산기는 1인산기가 됨) - 그런데, ddNTP는 3번 탄소에 하이드록시기가 없어 다른 dNTP의 5'-인산기와 포스포다이에스터 결합을 이루지 못함 - 따라서, ddNTP의 5'-인산기가 dNTP의 3'-하이드록시기와 .. 2023. 12. 18.
행동주의와 인지심리학 행동주의 내용은 https://m.blog.naver.com/ball9091/220686726567# 블로그를 주로 참고해 작성했습니다. 쉽게 정리되어 있으니 여기도 들어가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용현. (1994). 계산주의 , 연결주의 , 단순성. 철학연구, 34, 151-165. 계산주의와 연결주의는 해당 논문을 일부 참고하였습니다. 1. 행동주의(Behaviorism) - 인간의 성격은 내면적인 구조로 설명하기 보다는 외부환경에 의해 강화된 행동패턴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 - 기존 심리학의 철학적인 접근법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접근법을 택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 기본 원리는 자극-반응(S-R)으로 인간의 내면은 외면하고, 오직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는 데 중점을 둠 - 인간은 .. 2023. 10. 31.
비침습적 뇌자극 해당 글은 '김연희. (2013). 비침습적 뇌자극: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과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대한의사협회지, 56(1), 30-37.' '채정호. (2018). 우울증에서 비침습적 두뇌 자극 치료 : 경두개 자기자극과 경두개 직류자극. 신경정신의학, 57(2), 119-132.' '김신태, 김혜원, 김세주 and 강지인. (2017). 반복 경두개자기자극술의 우울증 치료효과 및 최신동향에 대한 고찰. 생물정신의학, 24(3), 95-109. 'Chung SW, Hoy KE, Fitzgerald PB. Theta-burst stimulation: a new form of TMS treatment for depression? Depress Anxiety. 2015 Mar;32(3):182-92. do.. 2023. 8. 18.
도파민네이션 이후 서술되는 내용은 필자가 리사 제노바 신경 과학자님의 '기억의 뇌과학'을 읽고 인상 깊었던 부분을 정리한 것이다. 1부. 쾌락과 고통의 이중주 3장. 뇌는 쾌락과 고통을 어떻게 이해하는가 - 도파민(Dopamine) - 뇌의 보상 과정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 '보상 그 자체의 쾌락을 느끼는 과정'보다 '보상을 얻기 위한 동기 부여 과정'에 더 큰 역할을 함 - 특정 행동이나 약물의 중독 가능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쓰임 - 대립-과정 이론(opponent-process theory) 쾌락과 고통의 상호 관계 - 자기 조정 메커니즘(self-regulating mechanism) - 쾌락과 고통은 같은 부위에서 처리되며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고 함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 이후 반응(a.. 2023. 8. 17.